2010년 7월 26일 월요일

트러블의 원인과 대책

트러블의 원인과 대책

 : Trouble Shooting for Endmilling

 

문제점 및 현상

 원인

대책

 절손

이송 속도가 빠르다.

절입량이 많다.

돌출량이 많다.

날의 마모가 심하다.

필요이상으로 날 길이가 길다.

 이송 속도를 줄인다.

절입량을 줄인다.

돌출량을 줄인다.

조기에 재연삭을 실시한다.

최대한 날길이를 줄여 사용한다.

 마모

버닝 발생

 절삭 속도가 빠르다.

옆날 경사삭이 작다.

피삭재의 경도가 높다.

 절삭 속도를 줄이고 절삭유를 충분히 공급한다.

적정 옆날 경사각으로 수정한다.

건식→수용성→불수용성의 순으로 절삭유를 공급하고 표면처리를 한다.

 절삭중 진동

 절삭 조건이 맞지 않다.

기계 및 척의 강성이 부족하다.

공작물의 고정이 불량하다.

돌출량이 많다.

옆날 1차 여유각이 크다.

 절삭 속도 및 이송 속도를 조정한다.

기계 및 척을 교체한다.

공작물을 견고히 체결한다.

날길이 및 돌출길이를 최대한 짧게 한다.

옆날 1차 여유각을 줄인다.

 날부의 결함

 이송 속도가 빠르다.

날의 경사각이 작다.

진동이 발생한다.

공작물의 체결이 불량하다.

절입량이 많다.

돌출량이 많다.

기계의 강성이 부족하다.

 이송 속로를 줄인다.

각도를 적정하게 수정한다.

회전수를 낮추어 진동을 줄인 후 작업한다.

공작물의 체결을 견고히 한다.

절입량을 줄인다.

돌출량을 적게 한다.

기계를 변경하여 작업한다.

 절삭성이 나쁨

 절삭날의 마모가 크다.

파삭재에 엔드밀 선택이 부적당하다.

옆날 경사각이 작다.

 

조기에 재연삭 한다.

적정 공구로 교체한다.

경사각을 수정한다.

 칩 배출 불량

 절삭유의 분사 압력이 낮거나 양이 적다.

칩 포켓이 작다.

날부의 마모가 크다.

절입량이 크다.

유량과 압력을 상승시킨다.

날수가 적은 엔드밀을 사용하거나 이송을 줄인다.

조기에 재연삭 한다.

절입량을 줄인다.


2010년 7월 5일 월요일

엔드밀 절삭조건

엔드밀의 절삭 조건

 

회전수(N)

적절한 회전수와 이송속도는 공구수명, 가공면 정도, 가공능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엔드밀이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합니다.

공구의 파손 및 급격한 마모로 인한 수면단축, 가공능률 저하, 가공면조도가 불량시

절삭조건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한다.

 

* 건식절삭의 경우 계산치 70%로 하향 조정하여 적용한다.

 

 

이송속도(F)

가공능력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이송속도는 잇날 한개당 이송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절입량

 엔드밀의 절삭깊이는 축방향의 절삭깊이를 d,

직경방향의 절삭폭은 W, 엔드밀의 직경은 D로

나타냅니다.

축방향의 깊이는 홈절삭의 경우 d=0.15D 이하,

측면절삭의 경우는 d=0.15 D2로 합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사항으로서 엔드밀이

쇼트(short)형이나, 난삭재용 또는 중절삭용인

때와 가공물의 재질이 비교적 절삭이 쉬운

알루미늄이나 연강인 경우는 이보다 더

깊이하여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축방향의 깊이'd'가 너무 깊으면

진동이 발생하여 가공면의 표면조도가

나빠지므로, 적당한 가공 깊이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상향절삭과 하향절삭의 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