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ating Tools images


Coating Guide
코팅재질 |
TiN | TiCN | TiAlN | CrN | DLC |
생성 |
황금색 |
진회색 |
검은회색 |
은색 |
검정 |
막경도(HV) |
2,000~2,500 |
2,700~3,000 |
2,600~3,000 |
1,600~2,000 |
3,000~5,000 |
마찰계수 |
0.7 |
0.6 |
0.7 |
0.4 |
0.1 |
막두께 |
2 ~ 3 (편측) |
2 ~ 3 (편측) |
2 ~ 3 (편측) |
2 ~ 3 (편측) |
2 ~ 3 (편측) |
코팅온도(℃) |
500℃이하 |
500℃이하 |
500℃이하 |
500℃이하 |
500℃이하 |
최대온도 |
600 |
400 |
800 |
700 |
|
내식성 |
○ |
△ |
○ |
◎ |
○ |
내산화성 |
○ |
△ |
◎ |
○ |
△ |
내마모 |
○ |
◎ |
◎ |
○ |
◎ |
내박리성 |
○ |
○ |
△ |
◎ |
△ |
내충격성 |
◎ |
△ |
△ |
○ |
X |
저마찰 |
△ |
△ |
△ |
○ |
◎ |
비응착 |
△ |
△ |
△ |
◎ |
◎ |
내열성 |
△ |
△ |
◎ |
◎ |
× |
주요특징 |
기본적인 Coating | TiN Coating | 고온경도 | 박막이 매우 치밀 | 가장 경도가 |
대비 내 마모성 | 고속작업 | 뛰어난 밀착력 | 높은 코팅 | ||
강화 | 내마모성 | 높은 내마모성 | |||
내산화성 | |||||
내소착 우수 | |||||
적용분야 |
절삭공구 | 절삭공구 | 절삭공구 | 다이캐스팅 금형 | 알루미늄 절삭가공 |
드로잉 모형 | SUS 고강도 | 건식가공 | 사출금형 | 자동차.공작기기 | |
포밍 모형 | 강판 가공용 | 고경도 가공용 | 밴드 & 드로잉 금형 | 가전 OA기기 | |
일반적인 코팅 | 포밍ㆍ드로잉 모형 | 가전 OA기기 | 의료기기(치자) | ||
의료기기(치자) |
Physical value of Tools material
공 구 재 료 |
상 온 온 도 |
항 절 력 (Kg/cm²) |
열 전도율 (Cal/K.cm²) |
고속도강 (HSS) |
HRA83 ~ 86 |
400 ~ 600 |
|
분말 고속도강 |
HRA87 ~ 88 |
250~ 350 |
|
초미립자 초경합금 |
HRA90 ~ 91 |
180 ~ 300 |
|
초경합금 (P종) |
HRA90 ~ 93 |
150 ~ 200 |
0.07~0.12 |
초경합금 (K종) |
HRA90 ~ 94 |
200 ~ 220 |
0.17~0.19 |
CERMET (TICN계) |
HRA91 ~ 94 |
170 ~ 180 |
0.05 |
CERMET (TIN계) |
HRA83 ~ 86 |
100 ~ 150 |
|
SIC |
HV2700 |
|
0.1 |
AL203 |
HV2100 |
70 ~ 90 |
0.05~0.20 |
CBN |
HV3500 ~ 4000 |
50 ~ 70 |
3.3 |
다이아몬드 |
HV7000 ~ 9000 |
90 ~ 110 |
5 |
절삭공구의 재료별 종류
이름 | 장점 | 단점 | 특징 |
다이아몬드 | ☞ 경도가 매우 높다 |
☞ 가공열에 의한 철과의 친화반응으로 철계 금속가공이 어렵다 ☞ 충격에 약하다 ☞ 열에 약하다 |
☞ 비철금속의 절삭 및 연마에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여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 비철금속이나 알루미늄 합금, 동합금, 수지류에 적용 |
고속도강 |
☞ 인성이 강하다 ☞ 내마모성이 강하다 |
☞ 고온이 되면 경도가 저하된다 ☞ 고온에서 내마모성이 떨어진다 |
☞ 범용의 공구재질로 널리 사용된다 ☞ 고속 절삭에 적합하다 |
초경합금 |
☞ 압축정도가 높아 경 도가 높다 ☞ 열팽창 계수가 작다 ☞ 내마모성이 좋다 ☞ 내열성이 우수하다 |
☞ 충격저항이 작다 (취성이 약하다) |
☞ W, Ti, Ta, Zr, Mo 등이 주원료 ☞ Co, Ni, Fe 등을 소결하여 만든다 |
세라믹 |
☞ 내마모성이 좋다 ☞ 열팽창률이 적다 ☞ 고온에서 높은 경도가 좋다 |
☞ 초경 합금공구 보다 충격에 약하다 ☞ 진동에 약하다 |
☞ Al2O3이 89~99%이고 나머지는 Si 및 산화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초경합금보다 고온 및 고속절삭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서메트 |
☞ 다듬질 면이 양호하다 ☞ 가격이 싸다 ☞ 내용착성이 좋다 ☞ 내마모성이 좋다 ☞ 고속 경절삭에 유리하다 ☞ HRC 60의 피삭제에 적합 |
☞ 인성이 약하다 ☞ 열전도성이 나쁘다 ☞ 가열, 냉각에 약하다 ☞ 절삭유제 등에 약하므로 습식 가공은 피한다 |
☞ 세라믹 분말을 Ni, Co, Cr 등의 점결제로써 초경합금에 혼합하여 소결한 것이다 ☞ 산화물서메트, 탄화물서메트, 붕화물서메트 등이 있다 ☞ 절삭공구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티타늄 합금 등에 부적합 |
CBN |
☞ 다이아몬드와 같이 강성이 크다 ☞ 경도는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Carbide의 20~30배 정도이다 ☞ 공기 중에서 1000℃ 이상의 고온에서 경화강과 장시간 접촉해도 안정하고 강을 고속으로 절삭해도 급속한 반응이 없다 |
☞ 수명이 짧다 ☞ 가격이 비싸다 ☞ 취성이 크다 |
☞ 1500℃에서 8GPa의 고온 고압을 유지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 boron nitride를 육각형 구조에서 다이아몬드에 근사한 구조로 변형시키고, 결합제인 메탈과 boron nitride를 충분히 혼합하여 고온 고압하에서 필요한 형태로 소결한다 |
PCD |
☞ 방향성이 없다. ☞ 경도, 내마모성, 열전도성이 다이아몬드와 같다 ☞ 비철금속, 비금속 절삭시 탁월한 표면조도를 구현한다 ☞ 고속강도에서도 긴 수명이 보장된다. |
☞ 연마 주기가 짧다 | ☞ 다이아몬드 입자를 초고온 고압하여 소결시킨 극도로 강인한 합성물이다 |
1. 엔드밀이란
- 절삭 가공에 이용하는 공구인 회전식 커터의 일종으로
둘레와 끝 면에 날이 있어 좁은 평면을 다듬거나
홈을 파는데 쓰는 커터로 밀링 가공에서 많이 쓰이는
절삭 공구. 엔드 밀링 커터라고도 한다.
2. 엔드밀의 종류 및 특징
- 플랫 앤드밀은 일반적으로 2차원 가공
- 볼 엔드밀은 3차원 형상의 가공
- Radius형 엔드밀은 플랫 엔드밀과 볼 엔드밀의 중간 형태로 3차원 가공 시 황삭에서 플랫 엔드밀과
함께 사용하기도 함
이것은 볼 엔드밀은 피삭재와 점 접촉으로 절삭하는데 비해 플랫 엔드밀은 면 접촉으로
절삭하기 때문에 한번의 움직임으로 절삭량이 많아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볼 엔드밀로 절삭하는 경우, 경로의 피치를 아무리 작게 해도 잔재가 나오는데 이를 Scallop이라고
한다.
![]() | ![]() | ![]() |
![]() | ![]() |
1) 플랫 엔드밀
날 끝이 평평한 엔드밀로 공구 중에 가장 많이 쓰이는 공구.
ex) 홀 가공 또는 면 가공 등
![]() | ![]() |
- 정삭용에 주로 사용.
- 한번에 바닥면과 외주를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
2) 볼 엔드밀
날 끝이 동그런 볼 형식의 엔드밀.
곡면 형상 가공 시 사용
![]() | ![]() |
- 3차원 가공과 R가공용에 주로 사용
- 칼날의 마모가 심하다는 단점
3. 엔드밀의 절삭 조건
* 회전수(N)
- 적절한 회전수와 이송속도는 공구수명, 가공면 정도, 가공능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엔드밀이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함
- 공구의 파손 및 급격한 마모로 인한 수명단축, 가공능률 저하, 가공면 조도가 불량시 절삭조건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
건식 절삭의 경우 계산치의 70%로 하향 조정하여 적용한다.
* 이송속도
- 가공능력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이송속도는 잇날 한 개당 이송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 절입량
- 엔드밀의 절삭 깊이는 축 방향의 절삭 깊이를 d,
- 직경 방향의 절삭 폭은 W,
- 엔드밀의 직경은 D,
- 축 방향의 깊이는 홈 절삭의 경우 d=0.15D 이하,
- 측면 절삭의 경우는 d=0.15D^2로 한다.
* 절삭유
절삭유제는 윤활성, 냉각성, 반 용착성 등을 향상시켜 공구 수명의 연장, 가공면의 향상,
절삭열의 제거, 소요 동력의 감소, 미세한 칩의 세정 효과등 생산성 향상을 부여 함.
* 상향 절삭과 하향 절삭의 차이점
4. 엔드밀의 마모
- 절삭 속도가 너무 빠를 경우
- 이송 속도가 너무 느릴 경우
- 엔드밀의 비틀림각이 부적합할 경우
- 상향 절삭일 경우
- 공작물의 경도가 높을 경우
- 칩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 열전도율이 낮은 피삭재일 경우
대책
- 절삭 속도를 낮춘다.
- 이송 속도를 빠르게 한다.
- 비틀림 각이 큰 엔드밀을 사용한다.
- 하향 절삭으로 전환한다.
- 고경도용 엔드밀로 바꾼다.
- 절삭점에 고압 공기나 절삭유를 공급한다.
- 칩 포켓이 넓은 엔드밀로 변경한다.
- 기공 경화층 제거를 위하여 절입량을 증대한다. ( 인선이 예리한 엔드밀 사용)
5. 엔드밀과 코팅
- 각종 공구의 다양한 재질의 특성에 의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공구의 표면에 고경도 및
인성이 우수한 표면 처리층을 형성
- 피복할 금속입자를 이온화하고 플러스의 전하를 주어서 가속시키며 모재의 표면에 꽂히듯이
밀착시키기 때문에 정착강도가 크고 내박리성이 우수함.
* 코팅의 효과
- 고속도강에 비해 3배 가까이 단단함
- 마찰계수는 반 정도
- 또 다른 물질과 반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것을 1~2㎛ 코팅한 공구는 내마모성, 내용착성이
우수하고 절삭속도를 고속 측으로 선정할 수 있으며 긴 수명이 얻어짐.
* 코팅의 종류와 특성
- 절삭 효과를 높이고 공구 수명 향상과 생산성 향상
1) TiN 코팅
: 코팅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공구의 표면에 Titanium Nitride 코팅 처리를 한다.
2) TiCN 코팅
: 절삭날에 역학적응력이 증가하는 고강도나 또는 연강의 절삭 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공구의 표면에 Titanium Carbon Nitride 코팅 처리를 한다.
3) TiAIN 코팅
: 연속적인 고속 절삭이나 건식 절삭의 경우와 같이 공구 날이 높은 열 응력을 받는 경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며 공구의 표면에 Titanium Aluminum Nitride 코팅 처리한다.
비교
(1) 하이스 엔드밀 : 범용의 공구재질로 널리 사용됨
① 용해 하이스 엔드밀 (코발트 하이스 엔드밀)
: 내열성이 우수한 코발트 8~10% 함유
② CPM 엔드밀 :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엔드밀
③ XPM 엔드밀 : 난삭재의 가공에 유리하며 하이스 엔드밀중 경도가 가장 높음
(2) 초경 엔드밀 : 경도가 높아 내마모성이 좋고, 고온경도도 높아 내열성도 우수
(3) 써멧 엔드밀 : 인성은 약하지만 내용착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고속 경절삭에 유리
(4) CBN 엔드밀 : 내마모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CBN 팁을 브레이징 한 것
(5) 다이아몬드 엔드밀 : 비철금속이나 알루미늄 합금, 동합금, 수지류에 적용